여드름
- 여드름이란 어떤 병인가요?
-
- 여드름은 모낭 피지선 단위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 여드름의 가장 큰 원인은 안드로겐 호르몬이 많아지면서 피지 분지가 증가하는데 여기에 표피의
각질층이 모공을 막음으로써 피지가 쌓여 발생하게 됩니다. - 피지선 안에는 정상적인 여드름균이 존재하는데, 피지가 원활이 배출되지 못하면 여드름균이
다른 세균들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 균이 모공에 염증을 일으키면서 여드름이
발생하게 됩니다. - 여드름 발생 연령은 사춘기에서부터 ~ 50대까지 다양하며 자칫 관리를 잘못하면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수 있어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질이 모공을 막아서
피지배출이 안됨배출되지 못한 피지가
덩어리가 되어 여드름
씨앗을 만듦여드름 씨앗을 먹고
사는 박테리아가 점점
커짐여드름 발생
남성호르몬 증가로 과도하게 분비되는 피지와 모공을 막는 각질이 여드름 씨를 만들어 박테리아를
과다 증식해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 여드름은 왜 발생하나요?
-
여드름은 크게 아래와 같이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 1) 호르몬 변화에 따른 과도한 피지생성: 체질적 요인, 과로 및 스트레스, 월경 및 임신
- 2) 모공폐쇄 원인: 안드로겐의 영향, 자외선, 화장품, 잘못된 세안법
- 3) 기타 원인: 여드름 악화 약물, 음식물(특히 술,지방,담배), 피로 및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 여드름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초기면포 후기면포
- (개방 면포 “일명 블랙헤드”)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올라와 끝까지 까맣게 변한 여드름
- (폐쇄 면포 “일명 화이트헤드”)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흰색의 여드름
-
염증성
농포/구진- 농포 : 손으로 눌러 짜고 싶은 충동을 느낄 만큼 잘 익은 고름 주머니가 만들어진 상태
- 구진 : 면포에 염증이 생기면서 붉게 변한 단계
-
결절/낭종- 결절 : 크고 깊으며 속으로 단단하게 만져지는 여드름
- 낭포 : 피부 속으로 염증을 동반하여 커지고 붉어진 여드름
-
- 피부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
- 여드름은 피지가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해 생기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각질이 모공을 막아서 피지배출이 안되어 염증을 유발시킵니다.
- 주기적으로 각질제거를 하여 피지가 원활하게 배출 될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 피부청결을 우선으로 하되 자극이 적은 약산성 또는 항균기능을 하는 세안제를 사용해 꼼꼼하게 세안합니다.
- 지나친 세안은 여드름을 악화시키므로 자극과 마찰을 최소화합니다.
- 유분이 많은 화장품은 사용을 억제하고 항균 및 수분공급이 되는 화장품을 사용합니다.
- 여드름 관리수칙
-
- 01 피부 청결을 우선으로 하되 자극이 적은 약산성 세안제로 깨끗하고 꼼꼼하게 세안합니다.
- 02 습관적으로 자주 짜거나 무의식적으로 피부를 만지는 것을 삼가하고 손을 항상 청결하게 합니다.
- 03 과도한 클렌징은 여드름을 악화시키므로 자극과 마찰을 최소화합니다.
- 04 유분이 많은 화장품은 사용을 억제하고 항균 및 수분공급이 되는 화장품을 사용합니다.
- 05 메이크업을 진하게 하면 모공을 막아 여드름을 악화시키므로 되도록 가볍게 화장합니다.
- 06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균형잡힌 식사와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07 강한 자외선이나 과로, 술, 담배 등은 여드름 치료의 적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 08 두피를 항상 청결하게 하고 이불이나 베개커버를 자주 세탁합니다.
- 09 충분한 수면과 휴식, 편안한 마음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 10 여드름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관리 및 예방 하는 것이 중요하며,
- 심한 경우 전문의의 진료를 받은 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출처: 건강보험관리공단, 대한화장품협회